파라벤 방부제 등 민감한 성분들에 대하여
사실 이 글은 굳지 읽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습니다만, 이 페이지를 검색하여 들어온 이유는 아마 파라벤 방부제 등을 비롯한 몇몇 화장품 성분들 중 유해하다고 회자되고 있는 성분이 정말 논란거리인지, 그냥 사용하면 안되는지 알고 싶어서 일 수도 있습니다.
정보를 접하는 통로가 다양해지고 여러 의견을 제시할 공간 또한 많아지고,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사는 것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건강에 좋은 것들 나쁜 것들에 대한 프로그램도 과거보다 다양해졌습니다. 그러나 그 만큼 어떤 의도를 갖고 제작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소비자가 우롱되는 경우도 있고, 평범한 기업이 문들 닫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언젠가부터 화장품에 사용된 다양한 성분들은 감시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용어조차 낯설고 어렵기만 한 화장품 성분들을 입력만 하면 얼마나 피부에 유해한지 아니면 안전한지 알려주는 사이트나 앱 들도 많아졌습니다. 물론 화장품에 넣어서는 안되는 성분(예를 들면 스테로이드, 수은 등)을 몰래 넣고 소비자를 경악시키는 사건들도 있었고, 피부 타입에 따라 화장품은 물론 먹는 것조차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러 저러한 프로그램과 뉴스 보도 등을 통해 화장품은 나쁜 화학 물질 덩어리인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해서 꼭 발라야 하는가? 필요악인가 하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근데 사실 우리를 둘러싼 자연계 또한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우리의 몸은 천연 화학물질과 인공화학물질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또는 비타민C는 감귤류로 먹든, 보조제로 섭취하든 몸에서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역할로 쓰이고 배출되는 것입니다.
또 논란이 되는 것은 용량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얼마 전 치약에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며 대대적으로 리콜이 발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해외의 관렵법이 모두 옳고 우수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에게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알려진 성분은 해외 치약에서는 제한된 배합 한도 내에서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성분에 대한 예가 다소 불쾌하다면 화장품에 정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프로필렌 글라이콜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프로필렌 글라이콜은 피부를 자극할 수 있는 성분이지만 사용량에 따라 자극 여부는 완전히 달라지는 성분입니다. 화장품 성분으로 배합될 경우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고 유연하게 해주지만 여타의 내추럴 에센셜 오일과 마찬가지로 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원액 그 자체로 사용하게 되면 문제가 됩니다.
화장품을 우리가 제품으로 구매해서 사용하는 기간 동안 별다른 문제 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안정성 때문입니다. 이것은 대체적으로 우리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할 때 효능과 효과를 따지면서 구매하지만 그 보다 가장 우선 시 되어야 할 것은 사실 안정성입니다. 화장품 처방을 하는 화학자나 제조자는 이 점을 아주 기본 베이스로 아주 중요한 원칙으로 가지고 갑니다. 안정성 위에 효능과 효과도 있다는 말입니다. 특히 입술이나 눈 주변에 사용하는 화장품은 더욱 더 안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방부제의 도움은 필수불가결합니다. 우리가 화장품 성분 라벨을 보면 가장 앞에 있는 성분으로 물 혹은 정제수라는 성분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물은 오염에 취약합니다. 크림 등의 제품에서는 세균이 쉽게 증식할 수 있고,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욕실에서는 세균의 활동이 더욱 왕성해집니다. 한 외국 대학의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개봉한 보습제의 약 40프로 정도가 박테리아에 오염되었고, 그 중 3프로는 항생제 내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되었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외국에서의 사례지만 세균에 오염된 보습제를 세균에 오염된 사실을 전혀 모르고 피부에 가벼운 상처가 난 아이에게 발랐다가 그 아이게 사망할 뻔한 사건도 있었습니다. 황색포도상구균을 비롯한 각종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사망 건수가 전세계적으로 여전히 많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본다면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장품에서의 방부제 사용은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임이 틀림없습니다.
여러 방부력을 가진 화장품 원료 중 우리에게 논란이 되는 성분은 바로 파라벤류 방부제일 것입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도 파라벤 방부제를 검색하고 이 글을 보셨을 확률이 대단히 높을 줄 압니다. 이 파라벤류가 논란이 된 것은 바로 파라벤류 방부제가 유방암의 유발인자라는 주장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결함을 가진 실험과 잘못된 해석으로 인한 것인데 아직도 방송 매체에서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이 파라벤 방부제가 유방암을 유발한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필자 또한 그런 프로그램을 보고, 그들의 신뢰하여 파라벤 프리 제품들을 써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조금만 검색을 해본다면 진실을 알 수 있습니다.
파라벤 계통은 자연에 존재하는 화학물질로 과일, 채소, 기타 여러 식물들에서 발견되며, 통설과 달리 파라벤이 특별히 에스트로겐을 많이 함유하지 않습니다. 콩이나 당근, 사과의 에스트로겐보다 함량이 낮습니다. 논란이 된 유방암 조직 샘플에서 미량의 파라벤이 발견되었다는 연구가 있었는데, 이 연구에 대한 관련 종사자들은 이 미량의 파라벤은 실험용기를 세척한 세제에서 나왔거나 오염된 실험용기에 의한 것이란 의견입니다. 왜냐하면 이 연구를 제외한 그 다른 연구에서는 유방암 세포 조직에서 파라벤 성분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디어에서는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방송 주제로 삼았고 오늘날 화장품 뿐 아니라 세제 등의 영역에서도 파라벤 프리를 마케팅 전략으로 내세우는 제품들이 아주 흔해졌습니다.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다른 방부력을 지닌 성분들이 대체되어 사용되거나 방부력이 있다고 밝혀진 각종 식물종자의 추출물들이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새로운 방부성분들의 안정성과 안전성 테스트 역사는 파라벤처럼 길지가 않다는 점은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파라벤과 함께 또 우리가 염려하는 성분 아니 아이템으로 데오도란트가 있습니다. 사용해도 되는지, 아니면 사용하면 나쁜지 말입니다. 파라벤류가 유방암을 유발한다는 괴담과 함께 데오도란트 역시 유방과 가까운 겨드랑이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그 안에 사용된 성분이 혹시나 유방암등을 유발하면 어쩌지 하는 생각을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것입니다. 즉,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가 알루미늄 지르코륨과 같은 미네랄 솔트가 함유된 발한 억제제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유방암 위험이 증가한다는 소문입니다. 하지만 수 많은 연구 결과를 보면 소량의 알루미늄 솔트가 피부 속으로 침투하긴 하지만 피부층을 다 뚫고 들어가지 못한다고 합니다. 설령 겨드랑이 제모 등의 과정에서 상처를 통해 소량 흡수된다 하여도 우리가 매일 식품으로 섭취하는 알루미늄의 양에 비하면 아주 미비합니다. (알루미늄이 걱정이 된다면, 녹차파우더가 들어간 빵이나 음료를 덜 마시는 것을 제안합니다.) 영국암연구소, 믹국암학회, 미국국립암연구소 등 비영리 암 연구 단체 모두 유방암과 데오도란트 등 겨드랑이 제품과의 관련성은 없다는 발표과 백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에 데오도란트 암(deodorant, cancer)라고 키워드만 넣고 검색하여도 관련된 내용을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장품이야기 > 화장품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 과학의 기초, pH (1) (0) | 2017.06.29 |
---|---|
피부와 물 그리고 화장품 (0) | 2017.06.28 |
피부에 좋은 놀라운 식물 성분 몇 가지 (0) | 2017.06.17 |
피부에 좋은 몇 가지 에센셜 오일 이야기 (0) | 2017.06.16 |
피부에 좋은 식물성 오일들 (0) | 2017.06.15 |